에너지 밴드 2

[Chapter 3] 3.1 고체에서의 결합력과 에너지 대역 (3)

안녕하세요 물리는 무리야 입니다. 앞서서 에너지 밴드 갭이 어떻게 형성되는 지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모든 고체는 각자 고유의 에너지 대역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이러한 대역구조의 변화는 여러가지 물질에서 관측되는 광범위한 전기적 특성의 원인이 됩니다. 그렇다면 고체인 금속,반도체,절연체는 어떤 에너지 밴드 구조를 가질까요? 1.도체 금속체에서는 에너지대역들이 겹쳐지거나 부분적으로 충만되어 있어서, 대역 내에서 전자와 빈 에너지 상태가 서로 혼합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전자들은 외부정계의 영향하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금속은 높은 전기전도도를 갖고 있습니다. 2.절연체 절연체에서는 전자로 채워진 부분과 채워지지않은 부분 사이에 존재하는 에너지 갭이 매우 커서 전자가 전도대에 도달하기 매..

고체전자공학 2023.01.06

[Chapter 3] 3.1 고체에서의 결합력과 에너지 대역 (2)

안녕하세요 물리는 무리야 입니다. 건너뛴 2장에서는 전자들이 원자 내에서 일련의 불연속적인 에너지 준위로 한정되어 있음을 확인 부분입니다. 2장 내용은 3장의 내용과 같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에너지 준위에는 전자가 존재할 수 없는 큰 에너지 간극(Gap)이 있습니다. 이와 같이 고체 내에서 전자들도 특정한 에너지값을 갖도록 제한되어 다른 에너지 준위에는 있을 수 없습니다. 이러한 에너지값의 영역을 대역(Band)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이 대역은 어디서부터 기초되어 형성된 것일까요? 이것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우리가 보어의 수소 원자 모델로 돌아가야 합니다. 보어 이전에 제시되었던 러더퍼드의 원자모델은 핵을 중심으로 전자가 궤도운동을 하며 주위를 도는 모형이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해석은 단순히 고전물리..

고체전자공학 2023.01.05